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안나 프로이트의 자아 방어 기제

by 선한부자공부 2023. 3. 22.
반응형

대를 이은 심리학자 안나 프로이트의 자아방어기제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딸 안나 프로이트도 아버지의 대를 이어서 정신역동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아버지와 같지만 다른 안나프로이트의 연구를 살펴보자. 

Walter Mischel, Yuichi shoda, Ronald E. Smith 지음 / 손정락 옮김/시그마프레스 출판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딸 안나프로이트

부인과 억압이라는 기제를 규명하고 그에 대해 초점을 맞춘 사람이 프로이트(Freud)였다. 그러나 자아가 사용하는 방어 기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중요한 분석을 한 사람은 또 다른 정신분석가이자 프로이트의 딸인,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였다. 대다수의 분석가들은 방어기제를 정신역동의 핵심으로 보고 있는데, 이 기제들은 자아가 그 평화유지 작업의 많은 부분을 행하는 것을 통한 과정이다. 그것들은 자아가 정신 내부의 전 생애에 걸친 전쟁에서 충동하고 종속시키고, 현실을 검증하고, 초자아의 요구를 조정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기제이다. 방어의 과정은 방출을 추구하는 충동과 이러한 소망들을 자아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고안된 방어 간의 지속적인 갈등을 수반하고, 이러한 변형과정에서 에너지는 교환되고 상이한 대상들로 향해지는데 방어 기제에 의해 매개된다.

 

 

 

안나 프로이트의 자아 방어 기제

1. 동기의 변형

예를 들어, 가학성 성도착 공격 충동이 자기가 수용하기에 여전히 너무 위협적이어서 억압될 수밖에 없다거나, 그것들을 외과수술에 대해 관심이 많은, 보다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형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어머니를 향한 성적 소망은 일부 Freud학파가 생각하는 바와 같이, 어떤 르네상스 화가들 사아에서 일어났던 성모 마리아를 그리는 작업으로 대치되었을 수 있다. 

 

2. 투사(projection)

개인 자신의 수용할 수 없는 충동성은 억제되는데, 불안의 원천은 다른 사람에게 귀인 시키게 된다. (예: 자신의 분노 감정을 무고한 친구에게 귀인 시킨다.) 투사는 불안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아마도 안도감을 주는 것 같다.

 

 

3.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개인이 불안을 유발하는 충동을 그것과 반대되는 것으로 변형시킬 때 나타난다. 

예를 들면, 자신의 성 충동과 이상한 성적 모험에 대한 욕망으로 인해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추행금지'자경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그들을 은밀히 매혹시키는 음란서적과 영화를 강력하게 검열하는데 에너지를 사용한다.  

투사와 반동형성을 통해 원초아와 충동은 표현되지만 위장되기 때문에 그 충동이 자아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욕망은 경멸과 증오가 된다)

 

4. 합리화(rationalization)

수용할 수 없는 무의식적 충동에 대해 합리적인 변명을 함으로써 스스로를 기만하려는 시도를 수반하는 방어이다. 

예를 들어 무의식적으로 아내에 대한 깊은 적대적 충동을 가진 남성은 그의 진정한 감정을 인정하지 않고 아내와의 관계를 분열시키고 파괴하는 정교한 방법을 꾸며내는데 그는 집을 떠나는 이유로 '사무실에서의 압력', '눈코 뜰 새 없는 스케줄', '물가상승 및 정치에 대한 걱정'과 같은 말을 호소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 그는 아내를 무시하고, 회피하고, 좌절시키는 것에 대해 조금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심지어 정당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5. 승화(sublimation)

문화 발달에 있어서 특히 의미 있는 자아방어이다. 승화는 충동을 성적 대상이나 공격적 대상으로부터 그 특징이 사회적인 것으로 돌리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공격적 충동이 어린 소년에게 너무 위협적인, 그 욕망이 오이디푸스 콤플랙스를 겪는 동안에 아버지에 대한 적대적인 감정을 품기보다는 그 발달과정에서 직업으로 외과를 선택하게 되어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러한 충동을 승화 또는 변형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자아 방어 기제의 정의와 예

자아 방어기제는 억압, 투사, 반동형성, 합리화, 승화 등이 있다. 

 

· 억압은 위협을 주는 충동이나 사상을 무의식적으로 (자각을 넘어서) 대량 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죄의식을 유발하는 성적 소망들은 '망각된다'.

 

· 투사는 자신의 수용할 수 없는 측면을 다른 누군가에게로 귀인 시킨다.

예시로 자신의 수용할 수 없는 성충동을 자신의 상관에게 귀인시킴으로 투사하는 것이다.

 

· 반동형성은  불안을 유발하는 충동이 의식에서 그 반대로 대치된다.

예를 들어, 수용할 수 없는 증오의 감정이 '사랑'으로 전환된다.

 

· 합리화는 보다 수용될 수 있는 원인으로 귀인시킴으로써 어떤 것을 보다 더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공정행위를 분노를 느끼는 것으로 탓을 돌리기보다는 '혹사당하는 것'으로 탓을 돌리는 것이다.

 

· 승화는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충동을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을 해치기보다는 군인이 되는 것, 항문기 욕망에 탐닉하기보다는 배관공이 되는 것 등이다.  

 

 

 

 

안나프로이트의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역동 이론 살펴보기

 

프로이드의 정신역동 이론

프로이드의 정신역동 이론 프로이드가 성격과 인간의 마음에 대한 개념에 끼친 공헌은 우리 행동의 많은 부분에 기저하고 있는 무의식적인 동기들과 갈등에 초점을 맞춘 정신역동적 분석 수준

www.goodrich1.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