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학파
융(Jung)은 스위스 개혁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고, 바젤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한 그는 취리히 정신의학 연구소에서 심리학에 대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융(Jung)은 Freud의 숭배자이자 동료로 출발했지만, 나중에는 Freud이론의 반대자가 되었으며, 자신만의 정신분석 이론과 심리치료 방법을 발달시켰다.
융학파의 개념은?
융(Jung) 학파의 개념에는 집단 무의식, 원형, 아니무스, 아니마, 만다라가 있다.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은 모든 사람에게서 발견되며, 유전된 기억과 조상의 행동 양식을 담고 있다고 일컬어진다. 원형(archetypes)은 집단 무의식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나 근원적 이미지, 꿈이나 신화로 표현되고(예: 대지의 어머니, 현명한 노인) 아니무스(animus)는 모든 여성의 무의식에 있는 남성적이고, 주장적인 요소이다. 아니마(anima)는 모든 남성의 무의식에 있는 여성적이고, 수동적인 요소이고 만다라(mandala)는 대개 둥근 모양이고, 자기를 상징화하며, 흔히 네 부분으로 나뉜 도안을 담고 있다.
무의식적인 마음은 융과 프로이트의 개념에서 어떻게 다른가?
프로이트 학파의 Anna Freud는 그녀의 아버지가 제안한 견해에 대해 기본적으로 충실했던 반면, 또 다른 정신역동적 접근의 다른 형태를 주도한 융(Carl Jung)은 훨씬 더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인물이다. 그의 접근법은 분석심리학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집단 무의식(collectiveunconscious) -유전된 성격토대- 을 주장한다. 집단 무의식의 내용은 원형(archetypes), 즉 '근원적 이미지'이다. 한 번 의식되었지만 망각되거나 억압되는 개인적 무의식과는 달리, 집단무의식의 내용은 결코 의식된 적이 없다. 그러므로 집단 무의식의 내용은 개별적으로 획득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유전에 기인한다. 원형의 예로는 신, 젊고 강력한 영웅, 현명한 노인, 대지의 어머니, 요정, 적대적인 형제가 있다. 이러한 예들은 모든 인류의 신화, 예술 및 꿈에서 나타난다.
융(Jung)의 관점에서 정신은 의식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인 내현적 측면, 즉 그림자 측면(shadow aspect)도 포함한다. 개인의 성장이란 이 그림자를 펼쳐 보이는 것, 그리고 의미 있고 응집된 생활양식으로 성격의 나머지 부분을 그림자와 점진적으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모든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이고 주장적인 요소 아니무스(animus)가 있다. 모든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이고 수동적인 요소인 아니마(anima)가 있다. 건설적으로 남성적 혹은 여성적으로 되려면, 각 성을 소유한 개인들은 자기가 자신의 내부 속에서 이들 반대되는 성 요소를 인식하고 통합해야 한다.
융의 세상을 경험하는 네 가지 방식은 어떤 것이 있는가?
융(Jung)의 세상을 경험하는 네 가지 방식에는 감각, 직관, 감정, 사고에 대해 기술하였다. 융(Jung)에 의하면 사람들은 각 경험 방식을 강조하는 정도가 일관되게 다르다. 감각은 감각기관을 통하여 이는 것이고, 직관은 감각 입력에 기저하고 있는 것에 대한 재빠른 추측하는 것, 감정은 아름다움이나 추함, 쾌락이나 불쾌의 정서적 측면들에 초점을 두는 것이며, 사고는 추상적 사고, 추론이다.
융(Jung)의 네 가지 경험방식과 마찬가지로 외향성-내향성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즉, 하나는 의식적인 생활에서 지배적인 반면, 다른 하나는 성격의 무의식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융(Jung)은 정신 에너지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그는 Freud 학파 이론의 성 본능을 배척한 것이 아니라, 단지 많은 본능들 중의 하나로 여겼다. 행동의 의미는 그것이 최종적인 산물, 최후의 효과의 견지에서만 완전히 명료해진다. 우리는 과거의 견지에서뿐만 아니라 목적과 목표 추구 노력에 비추어 인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융의 꿈에 대한 개념과 사용은 프로이트와 어떻게 다른가?
프로이트(Freud)와 마찬가지로 융(Jung)도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였는데 예를 들면, 그는 '이상행동'을 무의식적인 마음의 표현이라고 믿었다. 또한 Freud와 마찬가지로 이상행동을 무의식적인 내용이 그 자체를 드러내는 단지 한 가지 방식이라고 생각하였으며, 그는 그것들을 꿈속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고 느꼈다. 융(Jung)은 꿈에 대해 무의식적인 표현으로서 더 큰 매력을 느꼈다. 또한 그는 무의식 그 자체에 마음이 끌린다. 그는 무의식을 본능의 원천으로만 보지 않고, 꿈을 통한 의사소통이 되는 상징으로 가득 찬, 의식세계보다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보았다. 융(Jung)의 방법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꿈을 보다 더 잘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안내자로서 무의식이 기여하도록 가르쳤다.
융(Jung)의 성격개념은 복잡한데, 응집된 이론이라기보다는 일련의 관찰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관찰은 흔히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모순된 힘을 강조하였다 또한 단일성과 통일을 얻으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자기를 개념화한 최초의 사람으로서 자기 (전체성을 위한 추구)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하는 원형으로 보았다. 전체성을 추구하는 표현으로 만다라(마법의 원으로 된 원형)와 여러 가지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경험이 있다. 그는 원시 사회, 연금술, 신화, 춤 및 상징에서 이들 표현에 대한 연구를 하는 데에 그의 인생의 대부분을 보냈다. 통일과 전체성을 얻기 위해 개인은 자신의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에서 유용한 지혜를 점 짐적으로 자각해야 하고 그것을 삶과 조화시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의 이러한 견해는 많은 심리학자들을 매혹시켰지만 대다수의 심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방법으로 연구하기에는 여전히 어렵다.
Walter Mischel, Yuichi shoda, Ronald E. Smith 지음 / 손정락 옮김/시그마프레스 출판
댓글